8.2.11 문자열 변환하기(Converting Strings) - 아래의 메소드들을 이용해 앞 문자 대문자화, 문자열 전체 바꾸기 등을 할 수 있다. - 문자열을 완전히 바꾸는 것이 아닌, 파이썬이 임시로 복사본(a copy of a string)을 만들고 이 복사본을 이용해 값을 반환한다. - 즉, 문자열이 영원히 바뀌는 것이 아닌 메소드를 사용할 때만 잠시 내용물이 바뀐다. * 문자열 변환 메소드(주의 : 문자열이 아닌 메소드를 사용한 문자열의 복사본을 반환!) capitalize(): str 문자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바꾼 뒤 반환한다. lower(): str 모든 문자열을 소문자로 바꾼 뒤 반환한다. upper(): str 모든 문자열을 대문자로 바꾼 뒤 반환한다. title(): str 각 ..
8.2.8 문자열 반복하기(Iterating a String) - 문자열(string)은 반복이 가능하다. - 이 말은 즉, 반복문(loop)을 이용하여 문자열 안에 문자들에 접근 할 수 있다는 뜻이다. for ch in s : print(ch) - 문자열의 인덱스(index)를 이용하여 접근한다. * 문자열 반복 예 for i in range(0, len(s), 2): print(s[i]) 8.2.9 문자열 테스팅(Testing Strings, 문자열 메소드) - str 클래스는 쓰기 유용한 메소드들을 많이 가지고 있다. * str 클래스 안의 테스팅에 쓰이는 메소드표 isalnum() : bool 알파벳과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이라면 True 반환 isalpha() : bool 알파벳으로만 이우어진 ..
8.2.5 연결연산자와 반복연산자(The Concatenation (+) and Repetition (*) Operators) - 두 개의 문자열(strings)을 연결 연산자(concatenation operator, +)를 통해 하나로 합칠 수 있다. - 또한, 반복 연산자(repetition operator, *)를 통해 같은 문자를 여러 번 합칠 수 있다. - 아래가 그 예제이다. * 연결연산자와 반복연산자 예제 1 2 3 4 5 6 7 8 9 10 s1 = "Welcome" s2 = "Python" s3 = s1 + " to " + s2 print("s3 = ", s3,"\n") s4 = 3 * s1 print("s4 = ", s4,"\n") s5 = s1 * 3 print("s5 = ", s5..
8.1 소개 - 이번 챕터에서 중점적으로 다루는 것은 파이썬의 str 클래스를 사용하여 클래스를 디자인하고 특수 메소드들을 살펴보는 것이다. - str 클래스는 문자열을 다룰 때 유용할 뿐만 아니라,클래스를 디자인할 떄도 유용하다. - 챕터 3에서 이미 str 클래스에 대해 조금 다루어 보았다. - 이번 챕터에서는 str 클래스에 대해 좀 더 깊이 다룰 예정이다. - 특수 메소드는 파이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. - 이번 챕터에 역시 특수 메소드(special methods)와 연산자 오버로딩(operator overloading), 특수 메소드를 이용하여 클래스를 디자인할 예정이다. 8.2 str 클래스(The str Class) - str 객체는 불변 객체(immutable object)이다. 이 객..
7.7 객체지향적으로 생각하기(Object-Oriented Thinking) - 프로그래밍의 절차지향적(procedural) 패러다임은 함수를 설계하는데에 초점을 둔다. - 객체 지향적(object-oriented) 패러다임은 데이터와 메소드 둘 다 하나의 객체로 결합하는데 있다. - 객체지향적(object-oriented) 패러다임을 이용하는 소프트웨어는 객체(objects)와 객체의 동작(operation)에 중점을 둔다. - 이번 챕터에서는 절차지향적 프로그래밍과 객체지향적 프로그래밍의 차이점을 확인 할 수 있다. - 4장에서 배운 BMI 프로그램 코드를 이용하여 두 패러다임의 차이점을 확인해보자. *절차 지향적으로 만든 BMI 프로그램(BMI.py) 1 2 3 4 5 6 7 8 9 10 11 12..
7.6 클래스 추상화와 캡슐화(Class Abstraction and Encapsulation) - 클래스 추상화(abstraction)은 클래스 사용(use)과 구현(implementation)을 분리하는 개념이다. - 클래스의 구현(implementation)을 사용자로 부터 숨기는 것을 의미하며, 클래스 캡슐화(class encapsulation)라고도 알려져 있다. - 이전 챕터 6에서는 함수 추상화(function abstaction)를 배우고 이를 단계적 개선법으로 사용하였다. - 이와 비슷하게, 클래스 추상화(class abstraction)는 클래스의 사용과 구현을 분리하는 것을 의미한다. - 이전에 배운바와 같이, 클래스를 사용하는 유저(user)는 클래스가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 알 필..
7.4 불변 객체와 가변 객체(Immutable Objects vs. Mutable Objects) - 가변 객체(mutable object)를 함수에 전달할 때, 가변 객체의 내용물을 바꿀 수 있다. - 숫자(numbers)와 문자열(strings)은 불변 객체(immutable objects)이다. - 이러한 불변 객체의 내용물은 바뀌지 않는다. - 하지만, 가변 객체(mutable object)를 함수에 전달한다면 이 객체의 내용물을 바꿀 수 있다. - 아래의 예제가 불변 객체(Immutable Objects)와 가변 객체(mutable Objects)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예제이다. * 불변 객체와 가변객체 예제(TestPassMutableObject.py) 1 2 3 4 5 6 7 8 9 10 1..
7.2.5 예시 : 클래스 사용하기(Example: Using Classes) - 이전 포스트에서 객체와 클래스의 개념에 대해서 배웠다. - 이번에는 반지름이 각기 다른 3개의 circle 객체를 생성하고 각 원의 넓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볼 것이다. *TestCircle.py(circle 객체 사용 예제)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from Circle import Circle def main() : # 반지름 1인 circle 객체 circle1 = Circle() print("Tre area of the circle of radius", circle1.radius,"is",circle1.getArea()) #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파이썬 함수
- 파이썬 리스트
- 웹
- 파이썬 터틀
- 파이썬 객체
- 파이썬 for
- 백준
- 명품 c++ 실습
- 백준 11501
- 파이썬
- 자료구조
- 파이썬 예제
- css 그리드
- 자바
- 파이썬 클래스
- 파이썬 단계적 개선
- 자바스크립트 자료구조
- 버츄어박스
- 백준 1874
- 파이썬 while
- css 박스
- 파이썬 문자열
- 파이썬 진수 변환
- 자바스크립트 그래프
- css
- 백준 10451
- 파이썬 if문
- 파이썬 연산자
- 자바 에센셜 실습문제
- 파이썬 선택문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